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25년 서울 도심에 도심항공교통(UAM) 전용 하늘길 신설(‘21.9.27)

by 리얼에이스 2021. 10. 12.
728x90
반응형

이번 글은 부동산보다는 첨단기술도입과 가까운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소개해드릴 첨단기술도입을 생각해보면 이 기술이 도입될 경우 일부 부동산에는 호재라고 생각될 수 있을 것 같아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료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 도심항공교통(UAM)이란?
- 도심 내 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전기동력 수직이착륙기(eVTOL) 등을 이용하여 승객이나 화물 운송 등을 목적으로 타 교통수단과 연계되어 운용되는 새로운 항공교통체계이다. UAM(Urban Air Mobility)은 도심 안팎에서 승객·화물 운송을 비롯하여 공공목적(긴급의료 등)과 관광사업 등을 위해 운용될 수 있다.

자료 : 아시아경제
자료 : 연합뉴스

국내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 상용화 서비스 운용전략과 시나리오를 담은『한국형 도심항공교통 (K-UAM) 운용개념서 1.0』(이하 “운용개념서”)을 공식 발간



- (단계별 운용전략) K-UAM 상용운용은 초기(‘25~’29), 성장기 (‘30~’34), 성숙기(‘35~)로 3단계 발전전략을 가진다.



ㅇ 각 단계별로 가장 눈에 띄는 운용 상의 차이점은 기내에 기장이 직접 탑승해서 조종하는지(초기), 아니면 원격조종(성장기)이나 자율비행(성숙기) 방식으로 비행하는지 여부이며,

ㅇ 성장기에도 비상시 승객안전을 우선시하여 기내에 안전관리자가 탑승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 (이해관계자) UAM이 상용화되려면 새로운 산업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ㅇ UAM은 전통적인 항공산업과 달리 활주로 없이 도심의 교통 요지에 위치한 버티포트(Vertiport, UAM 이착륙장)를 환승센터, 터미널 또는 버스정류장처럼 활용해서 비행한다.

ㅇ 전기모터, 분산추진 등 친환경 저소음 기술의 발달로 도심 저고 도 공역(300~600m)을 운항하게 된다.

* UAM과 운항 경로가 겹치는 헬기는 고도 300m 이하에서 비행

ㅇ 또한, 그동안 국가가 전담하던 공항시설 운영과 항공교통관제서비스 대신, 혼잡한 도심 거점 또는 저고도 공역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 하는 버티포트 운영 및 UAM 교통관리 업무가 새롭게 도입된다.

- 민간도 버티포트 운영자와 UAM 교통관리서비스 제공자(이하 “교통 관리자”)*로 참여할 수 있게 되며, 이들은 UAM 운항자(UAM 항공사)와 함께 산업생태계를 이루는 중심축으로 기능하게 된다. * (Provider of Service for UAM, PSU) UAM 회랑을 중심으로 운항안전정보 공유, 교통흐름 관리, 비행계획 승인 및 항로이탈 관리 서비스 등 제공


- (UAM 전용회랑) 전용 하늘길인 UAM 회랑(回廊, Corridor)이 개설된다. 회랑은 버티포트를 시․종점으로 한 통로 형태로 만들어진다.

ㅇ 상용화 초기에는 고정된 형태(고정형 회랑)로 몇 개만 운영되지만, 버티포트와 노선 수가 많아지면 다수의 회랑이 복잡한 네트워크 형태(고정형 회랑망)가 된다.

- 성숙기에는 비행계획에 따라 만들어지고 없어지면서 시시각각 변화 하는 동적 회랑망(Dynamic Corridor Network)으로 진화한다.
* (고정형 회랑) 시 종점 버티포트를 1:1로 연결하여 상시 운영하는 회랑. 다른 UAM 회랑과 중첩 교차 연결되는 부분이 없이 독립적으로 관리
* (고정형 회랑망) 고정형 회랑을 서로 연결하여 상시 운영하는 회랑의 집합. UAM은 회랑의 연결망(Network)을 따라 복잡하고 다양한 노선으로 운항이 가능
* (동적 회랑망) 상시 운영되는 회랑에 의존하지 않고 UAM서비스 호출 시마다 최적 경로로 정의되어 개설 폐지되는 회랑의 집합

ㅇ UAM 회랑은 기존 항공기 공역과 분리되며 여기서는 국가의 항공교통관제 대신 UAM 교통관리서비스를 받게 된다.



- (UAM 교통관리) UAM 회랑은 교통관리자가 관리한다.
ㅇ 초기부터 휴대전화에 쓰이는 상용이동통신을 활용하여 운영하게 된다.

- 초기에는 기장과 교통관리자, 또는 항공교통관제사 사에에 음성기반 무선통신(VHF/UHF)도 사용되지만, 점차 고도화된 디지털 통신체계로 대체된다.

ㅇ 회랑은 지상에서 300~600m 사이에 설정된다.

- 소형 드론에 비해 최소 150m 이상 더 높이 만들어지며, 이를 관리 하는 K-드론시스템*과는 별개로 신설되는 UAM 교통관리체계 (UAM Traffic Management, UATM)를 이용하게 된다.
* (K-드론시스템) 드론(150kg ↓)의 위치파악 및 관제를 위한 저고도(150m ↓) 드론교통 관리 기술로서 비행안전성 향상과 자동․비가시권 비행 등을 위해 필수적(R&D 진행중)



- (운용시나리오) 초기 단계에서의 서비스 시나리오도 제공한다.
ㅇ 이용자가 UAM에 타고 내리는 주요 과정에서 발생할 다양한 상황들을 다각도로 분석한 후 각 이해관계자들이 수행할 역할, 상호 관계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으며,

- 상업화 가능한 운용모델을 구상하여 이해관계자가 할 일과 절차들을 규정하되,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시나리오를 검토하였다.
- 이를 위해 악천후, 기기고장 등 비정상상황에 대비한 대응계획도 운용개념서에 포함시키고 있다.

210928(석간)_25년_서울_도심에_도심항공교통(UAM)_전용_하늘길_신설(미래드론교통담당관실).pdf
1.34MB
(첨부)_한국형_도심항공교통(K_UAM)_운용개념서1.0
3.73MB


[아파트와 연결시켜보기]
-> UAM가 상용화되어 운영되면 아파트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전제) 안전성 확보

(의문점)
-----------------------------------------------------------------------------------------------------------------------------------
① UAM의 탑승객 정원
② UAM의 이용요금이 어떨지
③ UAM의 탑승시 허가절차에 따른 소요시간 여부
④ UAM과 버티포트 운영시 소음 및 사생활 보호 문제
⑤ 버티포트의 위치가 도심의 다른 교통수단과 연계가 잘 이루어지는 곳일지

(아파트와 연관시켜보기)
-----------------------------------------------------------------------------------------------------------------------------------
① 탑승객 정원이 적다면 교통수단 추가에 따른 호재로서는 효과 미미
ex) 한강수상택시
② 이용요금이 비싸다면 특정고객만 이용할 확률이 높아 호재로서는 효과 미미
ex) 한강수상택시
③ 탑승 허가절차(버티포트 도착 -> 항공시설이므로 보안 철저 -> 탑승) 시간소요가 많아 출퇴근시간에 부적합할 경우 호재로서는 효과 미미
④ 이착륙시 소음발생으로 그 범위가 넓다면 민원발생에 따라 운영 차질, 운영고도에 따른 UAM에서 아파트 내부를 볼 수 있을 가능성이 있어 사생활 침해 발생시 호재로서는 효과 미미
⑤ 버티포트 탑승을 하기 위해 일부러 이동시 시간소요 + UAM 이용 + 버티포트 도착과 도심의 트래픽을 통(지하철, 버스, 자전거 등)하는 시간소요보다 많이 소요될 경우 호재로서는 효과 미미

(결론)
-----------------------------------------------------------------------------------------------------------------------------------
구체적인 운영안이 나오면 위와 같은 사항을 확인하여 아파트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 것인지 파악 필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