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주택금융통계시스템 구경하기

by 리얼에이스 2021. 9. 30.
728x90
반응형

이번 글은 "주택금융연구원"의 자료를 한번 살펴볼까 합니다.
먼저 주택금융연구원은 2004년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설립과 함께 조사부로 시작되었으며, 2016년 주택금융연구원으로 확대 개편하여 주택금융 관련 조사연구 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1.그럼 주택금융연구원에서 어떤 자료를 찾아볼까요?

일단 "주택금융통계시스템"으로 접속해봅니다.

메인화면에서 제가 찾아보고 싶은 부분은 "인기통계"에 있습니다. 왼쪽 인기통계 메뉴를 선택합니다.

선택하니 사람들이 많이 보는 통계자료가 나와있습니다.
여기에서 저는 1번과 2번을 보려고 합니다.


1번 선택!

이렇게 화면이 나오고 "XLS"로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지역별 "주택구입부담지수"는 무엇이길래 인기 1위일까요? 오른쪽 하단 "주석열기"를 해서 무슨 내용인지 보겠습니다.

다른 문구들은 생소하고 좀 어려우니 "중간소득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지수가 낮을(높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완화(가중)됨을 의미" 요 문구만 보겠습니다. 지수가 낮은게 주택구입부담이 적다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제 엑셀파일을 다운받아 전국을 한번 보겠습니다.

2021년 2분기 지수가 높은 지역 순서는 서울-세종-경기-대구-인천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9년 2분기에서 2021년 2분기까지 지수 증가가 높은 지역 순서는 서울(+48.3), 경기(+30.0), 대전(+21.1), 인천(+14.9), 울산(+11.0)순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많이 상승했다고 알고 있는 지역들이 높은 순위권에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 지역에서 주택구입을 할 경우 자산부담이 많을 것입니다.

그런데 표를 보시면 특이한 지역이 있습니다. 대체로 2019년 대비 2021년 지수가 상승하였는데 강원과 제주입니다.
강원은 2019년 2분기 33에서 2021년 2분기 32.1로 하락했다가 현재는 2년전 지수로 회귀하고 있습니다.
제주는 2019년 2분기 75.4에서 2021년 2분기 66.8로 아직 2년전 지수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런 지역이 향후 어떻게 변화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2. 이제 두번째 "지역별 PIR 및 LIR"을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와 마찬가지로 선택!

이번에도 주석열기를 클릭해보겠습니다.

PIR연평균소득을 반영한 특정 지역 또는 국가 평균수준의 주택을 구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는 지수입니다. 이는 가구소득수준을 반영해 주택가격의 적정성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지수입니다.
ex) PIR이 10이라는 것은 10년 동안의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두 모아야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

LIR연평균소득을 반영하여 시행한 대출원금을 상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 지수입니다.


PIR 지수가 높을 수록 주택가격이 연소득대비 많이 상승한 것이고 LIR 지수가 높을 수록 주택을 매매하기 위해 대출을 많이 실행하여 연소득대비 상환해야 하는 기간이 증가한 것으로 보면 될 것입니다.

2021년 1~5월 PIR 지수를 보면, 1월 대비 서울은 +1.44, 울산 +3.77, 전남 +3.33, 경남 +2.09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울은 5월 기준 9.93년 약 10년동안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두 모아야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 8.47년, 전남 8.2년, 인천 7.67년, 부산 7.36년, 경남 7.34년으로 7년이상을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두 모아야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3. 결론

어떠셨나요?
소득은 비슷하거나 줄어들고 있는데 주택구입부담지수, PIR지수는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재테크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입니다.

이번 글은 모르셔도 되는 내용이지만 많은 부동산 블로거 또는 유튜버들이 위 지수들을 언급하는 경우가 많아서 여러분들도 알고는 계셔야 할 것 같아서 적어봤습니다.
모르는 것보단 나으니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