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에서 구축한 하나의 사이트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1. 가로구역과 최근 뉴스 내용 보기
가로구역이란 도로로 둘러싸인 일단의 지역을 말합니다.
최근 아시아경제('21.12.2) "양재대로 등 7개 가로변 건축물 높아진다...높이 제한 완화" 란 기사를 냈습니다.
- 역세권·중심지체계 등 5개 분석계수 토대로 선정…최대 13m(가마산로) 상향 서울시는 가마산로·양재대로 등 7개 주요 가로변 건축물 높이 제한을 완화해 최고 높이를 상향한다고 3일 밝혔다.
- 대상지역은 가마산로, 원효로, 양재대로, 봉은사로, 노량진로, 왕산로, 보문로 등이다. 선정된 7곳은 도시관리계획과 중첩도가 낮으면서 역세권, 개발규모가 높은 용도지역에 위치한 곳이다. 구로산 가마산로의 경우 지역중심에서 광역중심으로 변경됨에 따라 건축물 높이 기준이 최대 13m(67→80m) 가 높아졌다. 서울시는 주민공람이 끝나면 건축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1월 고시할 계획이다.
- 가로구역별 높이제한은 가로구역별로 건축물이 높이를 지정할 수 있는 제도로 건축법에 따라 2000년 도입됐다. 서울에는 현재 45개 가로구역(13.62㎢)이 높이제한 지역으로 지정돼 있다. 가로구역은 도로로 둘러싸인 지역을 말한다.
- 서울시는 5가지 분석계수를 설정하고 항목별로 점수를 매개 점수가 가장 높은 순으로 대상 가로구역을 선정했다. 또 같은 블록 안에서 간선도로변과 이면도로변 건축물 높이가 3배 이상 차이가 나거나 용적률 실현이 불가능할 정도로 높이 제한이 낮은 경우들도 높이 제한을 완화했다.
- 서울시는 가로구역별 건축물 높이 제한을 시민들이 간편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서울시 도시계획포털을 개편했다고 전했다. 메인화면에서 주소만 입력하면 해당 지역의 높이 기준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높이 제한 재정비를 지속해서 추진해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2. 서울시 도시계획포털
-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뉴스내용과 같이 주소를 입력하면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주소를 잘 모를경우 지도서비스를 선택하면 됩니다.

- 지도서비스를 선택했을 경우,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오른쪽 메뉴에서 "가루구역별 건축물 높이"를 선택하여 봅니다.

- 가로구역별 건축물 높이를 선택하고 지도를 줌하여 구역을 선택하면(선택 후 오른쪽 마우스 클릭)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지침도 -> 남부순환로(2)변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자료를 다운받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어 정의도 있으며



3. 가로구역 중 한곳 살펴보기
- 지역중심에서 광역중심으로 변경됨에 따라 건축물 높이 기준이 최대 13m(67→80m) 가 높아졌다고 보도된 구로산 가마산로를 네이버부동산 개발계획에 표현해보겠습니다.
- 표현한 결과, 신길뉴타운+신안산선+GTX 등 주변 개발이 있지만 다른 계획과 중첩도가 낮으면서 역세권, 개발규모가 높은 용도지역으로 판단하여 설정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한 곳을 더 살펴보겠습니다. 원효로를 위와 같이 네이버부동산 개발계획에 표현해보았습니다. 가마산로와 유사한 곳임을 알 수 있습니다.

4. 생각해보기
- 뉴스에서 보듯이 가로구역 높이를 조정하면 건축물의 높이를 상향시킬 수 있습니다.
- 그리고 도시관리계획과 중첩도가 낮으면서 역세권, 개발규모가 높은 용도지역에 위치를 지정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이에 향후 왜 7개 가로구역의 높이 제한을 조정했는지 유심히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부터 1주택 양도세 비과세 기준 '9억원→12억원'('21.12.7) (0) | 2021.12.07 |
---|---|
'지방이전' 대선 공약에..떨고 있는 금융공기관('21.12.04) (0) | 2021.12.06 |
DL이앤씨, 주거용 트위스트 설계기술로 '차별화' 노린다('21.11.24) (1) | 2021.12.04 |
인천광역시 알아보기(부평구)(4)(삼산동) (0) | 2021.12.03 |
반포주공 1단지 이사 행렬..사당·봉천 빌라 전셋값까지 들썩('21.11.28) (0) | 2021.1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