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서울시 ‘실내형 공개공간’ 개념 도입('22.1.2)

by 리얼에이스 2022. 1. 3.
728x90
반응형

이번 뉴스는 서울시에서 최초로 도입하는 실내형 공개공간 이란 내용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용적률 완화 대신 설치하는 ‘공개공간’ 건축 조례에 추가, 면적 따라 높이 규정 등 설정, 건축주 사적 점유 방지책도 같이 마련한다는 내용입니다.

 

내용을 보겠습니다.

 

 

 

1. 뉴스보기(경향신문)

 

 

건물 밖에 조성된 야외 공원이나 쉼터는 대부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개공지(공개공간)’로 조성된 곳들이다.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을 지을 때 건축주는 용적률을 완화받는 대신 공개공간을 설치해야 하는데, 그 동안은 건물 밖에 만들어왔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과 한파, 미세먼지 등으로 실외 공개공지 활용도가 낮아지고 있다. 이에 서울시가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실내형 공개공간’을 도입했다.

 

서울시는 공개공간의 정의와 설치기준을 신설하는 내용으로 ‘서울특별시 건축 조례’를 개정해 지난 30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고 2일 밝혔다. 날씨와 계절, 미세먼지 등에 구애받지 않고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실내형 공개공간 조성을 위한 제도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현행법상 공개공간 설치 장소는 실외로 한정돼 있지 않다. 다만 면적과 높이 등 실내용 공개공간 설치와 관련한 구체적 기준이 없었다. 실내라는 특성상 건축주가 사유재산처럼 점유할 수 있다는 우려로 국내에서는 실제로 설치된 사례도 없었다.

 

해외에서는 실내형 공개공간이 보편화돼 있다. 미국 뉴욕 맨해튼 IBM 플라자 등이 대표적이다. 이곳에는 건물 1층에 높고 투명한 유리창으로 만들어진 실내형 공개공간에 누구나 앉을 수 있는 의자와 테이블이 갖춰져 있다.

미국 뉴욕 맨해튼의 시티그룹 센터 아트리움(왼쪽 사진)과 IBM 플라자에는 층고가 높고 투명한 유리창으로 만들어진 ‘실내형 공개공간’이 있다. 이곳에는 의자와 테이블이 있어 날씨와 상관없이 누구나 쾌적하게 쉴 수 있다. 서울시 제공

 

이번에 개정한 조례를 보면, 실내형 공개공간은 기후여건 등을 고려해 건축물 내부 공간을 활용해 조성되는 공개공간을 의미한다. 일반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다수가 이용 가능한 공간에 설치해야 한다. 용적률 인센티브는 건축법에 따라 기존 실외 공개공간과 동일하게 120% 범위 내에서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면적이 넓어질수록 군집도가 커지는 만큼 쾌적성 확보를 위해 실내형 공개공간을 면적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해 최소 폭과 높이 규정을 설정했다. 실내형 공개공간 면적이 150㎡ 이상인 소규모에서는 최소 폭이 6m 이상, 최소 높이가 층수 2개층 이상이 돼야 한다. 실내형 공개공간 면적이 1000㎡ 이상인 대규모는 최소폭 12m 이상, 최소 높이는 층수 4개층 이상이어야 하는 식이다.

 

시는 또 실내 공개공간을 건축주가 사유재산처럼 점유하는 일을 막기 위해 출입문 등에 안내판을 설치하고, 분기별·수시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실내 활동이 많은 도시민의 생활을 고려한 건물 내 휴식·소통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실외 공개공간의 한계를 개선하고 공공공간의 공공성과 쾌적성, 활용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2. 생각해보기

 

 

예전의 건축물의 설계는 수익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내기 위한 목적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트렌드의 변화로 쉼터란 개념이 많이 도입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 개장한 여의도 현대백화점도 하나의 사례일 거 같습니다.

여의도 더현대

 

일단 신규 건축물에 위와 같은 실내형 공개공간 설치가 용이하므로 서울시내에 신규로 조성되는 공간이 주목받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대규모시설의 전면 리모델링에 의한 실내형 공개공간을 적용하고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 곳곳에 독특한 공간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그럼 서울시는 더 좋아질까요? 나빠질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